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메이븐
- Oracle
- spring boot post api
- 자바스크립트 class
- 스프링 에러
- spring boot rest api
- 인텔리제이
- javascript class
- 스프링
- 오라클
- javascript 클래스
- spring 에러
- javascript
- Spring boot
- Spring
- pom.xml
- spring boot CRUD
- 자바스크립트 클래스
- spring 설정 파일
- spring boot error
- Intellij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REST API
- exceptiontransfer
- 자바스크립트
- 디자인 패턴
- 스프링부트 post api
- Spring REST API
- 전자정부 샘플
- egov
- Today
- Total
목록javascript (8)
빵구의 개발 메꾸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wEdH/btrzem2XydA/tZkc41vA8xz2FD8iyFDJek/img.png)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 후 사용할 수 있는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인스턴스 프로퍼티와 메서드라고 부른다. 객체의 상태 정보를 담거나 다뤄야 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한다. 별도의 인스턴스를 생성할 필요 없이 바로 접근 가능한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클래스 프로퍼티와 클래스 메서드라고 부른다.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한 유틸리티성 정보와 기능을 구현할 때 주로 사용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jNBH/btrzbFWTw5H/hqe9MCXceNWOrFp29PaDY0/img.png)
일반적으로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가 저장되어 있는 속성. 메서드를 호출할 때 뿐만 아니라 이벤트 리스너가 호출될 때에도 this 속성이 만들어진다. 하지만 this 속성에 저장되는 값은 항상 동일한 값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다르다. 다양한 경우에 this에 어떠한 값이 들어가는지 잘 판단해서 활용할 수 있어야한다. 1. 일반 함수에서 this 2. 중첩 함수에서 this 3. 이벤트에서 this 4. 메서드에서 this 5. 메서드 내부의 중첩 함수에서 this 일반 함수 내부에서 this는 전역 객체인 window가 저장된다. 중첩 함수에서 this는 전역 객체인 window가 저장된다. 이벤트 리스너에서 this는 이벤트를 발생시킨 객체가 된다. 이에 따라 this는 id가 testBtn인 대상이 되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jB5MD/btrzcTAdXId/GkfawJ1O3fclZH9FiVqH41/img.png)
기본적으로 리터럴 방식, 함수 방식, 프로토타입 방식이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클래스라는 개념을 제공하지 않지만 클래스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자바에서 인스턴스 생성 시 new 클래스명(); 방식과 동일하다. 인스턴스가 만들어지면 클래스의 프로퍼티와 메서드에 접근이 가능하다. 자신을 나타내는 this라는 속성으로 접근한다. 클래스 하나에 대한 여러 개의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결과를 만들 수 있다. 프로퍼티는 콜론(:)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프로퍼티 이름, 우측에는 값을 작성하며 메서드도 콜론(:)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메서드 이름, 우측에는 함수 정의 부분을 작성한다. 리터럴 방식의 경우는 여러 개의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가 없다. 정의하는 순간 인스턴스가 자동으로 생성되기 때문. 인스턴스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