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메이븐
- Spring boot
- Oracle
- 스프링부트 post api
- REST API
- javascript
- javascript 클래스
- egov
- 오라클
- spring boot rest api
- 디자인 패턴
- exceptiontransfer
- 스프링 에러
- 스프링
- spring boot error
- 자바스크립트
- 자바스크립트 class
- Intellij
- javascript class
- 전자정부 샘플
- spring 설정 파일
- spring boot post api
- spring boot CRUD
- 자바스크립트 클래스
- 인텔리제이
- spring 에러
- pom.xml
- Spring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Spring REST API
- Today
- Total
목록Spring (18)
빵구의 개발 메꾸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BQhlT/btrBiALkhkT/v2UmjBVyLDmITR9Oipzoik/img.png)
Tomcat에 스프링(Spring) 프로젝트를 올리고 구동을 시켰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ERROR] org.apache.tomcat.util.bcel.classfile.ClassFormatException: Invalid byte tag in constant pool: 19 원인은 Tomcat 버전과 pom.xml의 dependency에 넣어준 jar 파일의 버전이 맞지 않아서 생긴 에러였다. 오류 발생 과정과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기존에 pom.xml의 dependency에 넣어준 jar 파일의 버전이다. ② 서버를 구동시켰으나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ERROR] org.apache.tomcat.util.bcel.classfile.ClassFormatException: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wXxz/btrBiZqub2V/uEgIpkk3xanKADD5N5SIl1/img.png)
스프링(Spring)에서는 파일 업로드를 위해 클라이언트가 multipart 형식으로 서버에 전송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MultipartResolver가 필요한데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MultipartResolver는 CommonsMultipartResolver 클래스이다. CommonsMultipartResolver 클래스에 대해 id가 spring.RegularCommonsMultipartResolver인 bean을 등록했으나 BeanCreationException이 발생했다. 오류 발생 과정과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파일 업로드를 위해 CommonsMultipartResolver 클래스에 대해 id가 MultipartResolver인 bean을 등록한다. ② 서버를 구동시켰으나 Com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XG8k/btrA9iljhFY/fClr0f4FG4e8NLB16sjkmk/img.png)
git에서 받은 Spring Maven Project를 Tomcat 서버에 올리고 구동을 시켰는데 LifecycleException이 발생했다. Project Clean도 해보고 Tomcat 서버 Clean도 해봤으나 조치가 되지 않았다. 보통 LifecycleException이 발생하면 원인은 필요한 라이브러리가 정상적으로 받아지지 않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maven은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dependency에 추가만 하게되면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받아지는데 이 때 가끔 정상적으로 받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초기화 해주고 다시 받아주면 문제가 해결된다. 이 문제도 결국 확인해 본 결과 로컬에 있는 Maven 저장소가 문제였다. ① git에서 받은 Spring Maven Project를 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02uN/btrAPWomrfN/Mxdk6HSS8gjCQG4uC0KTak/img.png)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프로젝트 생성 시 샘플 코드를 포함시킨 상태로 생성하는 경우 샘플 코드에 대한 파일이 자동으로 구성된다. spring 설정 파일 중 context-validator.xml 파일에 대해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역할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① web.xml 파일은 웹 어플리케이션의 설정파일이며 WAS가 실행이 될 때 가장 먼저 읽는다. ② context-param 태그의 param-value를 보면 context-로 시작하는 xml 파일들은 전부다 읽어서 적용시킨다. ① context-validator.xml 파일은 검증 기능을 설정하는 파일이다. ② 하단의 id가 validatorFactory인 bean을 참조하여 검증 처리를 수행하는 DefaultBeanValidator 클래스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L3aV/btrAOCbCvuw/viPs8no3GqjoPFRJTEltkK/img.png)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프로젝트 생성 시 샘플 코드를 포함시킨 상태로 생성하는 경우 샘플 코드에 대한 파일이 자동으로 구성된다. spring 설정 파일 중 context-transaction.xml 파일에 대해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역할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① web.xml 파일은 웹 어플리케이션의 설정파일이며 WAS가 실행이 될 때 가장 먼저 읽는다. ② context-param 태그의 param-value를 보면 context-로 시작하는 xml 파일들은 전부다 읽어서 적용시킨다. ① context-transaction.xml 파일은 트랜잭션을 설정하는 파일이다. ②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DataSourceTransactionManager 클래스에 대해 id가 txManager인 bean을 등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