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스프링 에러
- pom.xml
- spring boot CRUD
- spring boot error
- Oracle
- 자바스크립트 class
- Spring REST API
- 디자인 패턴
- 오라클
- 전자정부 샘플
- javascript class
- Spring boot
- 인텔리제이
- 자바스크립트 클래스
- spring boot post api
- 스프링부트 post api
- spring boot rest api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spring 설정 파일
- Spring
- 자바스크립트
- spring 에러
- Intellij
- javascript
- 스프링
- REST API
- 메이븐
- exceptiontransfer
- javascript 클래스
- egov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3)
빵구의 개발 메꾸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doc7/btrBuRl1qSP/lxKygdmaK2r5vCG5AqXoH0/img.png)
스프링 부트(Spring Boot)를 활용하여 HTTP Method중 하나인 GET REST API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GET REST API를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한가지씩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RestController는 해당 class가 RestAPI를 처리하는 Controller로 등록하겠다는 의미에서 사용된다. ① 첫번째 구현 방법을 살펴보자. @GetMapping에 path라는 속성으로 요청이 들어올 세부 URL에 대한 path를 지정해준다. ② GET으로 설정한 뒤 요청을 보낼 URL인 localhost:8080/api/test/get-method1을 셋팅한다. ③ Send 버튼을 클릭하여 GET REST API를 호출한다. ④ return 받은 값을 보면 정..
POJO는 Plain Old Java Object의 약자로 gettet/setter를 가진 단순한 순수 자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JAVA는 객체지향프로그래밍 언어이기 때문에 POJO 방식은 객체지향의 특징을 잃어버려선 안된다. 그렇기 때문에 POJO는 특정 규약이나 특정 환경에 종속 되지 않는다. (라이브러리 또는 모듈) 1. 특정 클래스에 대해 상속을 강제 받지 않는다. 2. 특정 인터페이스의 구현을 강제 받지 않는다. 3. 특정 어노테이션의 사용을 강제 받지 않는다. 즉 외부의 의존성을 두지 않고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부분에 순수 JAVA로 구성이 가능해야 한다. POJO Framework는 POJO 방식을 사용하여 서비스와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framework이다. 대표적으로 POJ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7bnBi/btrBjI4ulrJ/fLISG9kPA913ztkweXXCMK/img.png)
디버깅(Debugging)이란 프로그램 개발 중 발생하는 시스템의 논리적인 오류나 비정상적인 버그를 찾아내고 그 원인에 대해 확인 후 수정하는 작업 과정을 의미한다. 인텔리제이(Intellij) IDE에서 디버깅(Debugging)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자. ① 디버깅(Debugging)이 필요한 부분에 Break Point를 걸고 싶다면 해당 라인에서 마우스를 좌클릭 한다. 빨간색 동그라미가 생기면 정상적으로 Break Point가 걸린것이다. ② Break Point가 걸렸다면 마우스를 우클릭하고 Debug '클래스이름.메서드명()'을 클릭한다. ③ Debug가 실행되면서 하단에 다음과 같은 UI가 나올 것이다. ① Step Over 버튼은 메서드 안으로 들어가진 않고 바로 실행시키고 다음 라인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BQhlT/btrBiALkhkT/v2UmjBVyLDmITR9Oipzoik/img.png)
Tomcat에 스프링(Spring) 프로젝트를 올리고 구동을 시켰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ERROR] org.apache.tomcat.util.bcel.classfile.ClassFormatException: Invalid byte tag in constant pool: 19 원인은 Tomcat 버전과 pom.xml의 dependency에 넣어준 jar 파일의 버전이 맞지 않아서 생긴 에러였다. 오류 발생 과정과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기존에 pom.xml의 dependency에 넣어준 jar 파일의 버전이다. ② 서버를 구동시켰으나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ERROR] org.apache.tomcat.util.bcel.classfile.ClassFormatException: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wXxz/btrBiZqub2V/uEgIpkk3xanKADD5N5SIl1/img.png)
스프링(Spring)에서는 파일 업로드를 위해 클라이언트가 multipart 형식으로 서버에 전송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MultipartResolver가 필요한데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MultipartResolver는 CommonsMultipartResolver 클래스이다. CommonsMultipartResolver 클래스에 대해 id가 spring.RegularCommonsMultipartResolver인 bean을 등록했으나 BeanCreationException이 발생했다. 오류 발생 과정과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파일 업로드를 위해 CommonsMultipartResolver 클래스에 대해 id가 MultipartResolver인 bean을 등록한다. ② 서버를 구동시켰으나 Comm..